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에너지4

적색거성과 초신성 알아보자 적색거성과 초신성의 대해서 알아보자 성운에서 만유인력의 응축 작용에 의해 형성된 별은 내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시작되면 더 이상의 응축이 멈추고 밝게 빛나는 별이 된다. 그러나 별의 내부에서 핵융합이 계속됨에 따라 핵에는 헬륨의 양이 점점 늘어나고 수소는 줄어든다. 따라서 결국에는 핵의 수소가 고갈될 것이다. 그때가 되면 핵에서의 핵반응은 멈추고 에너지 공급은 중단된다. 핵에서 일어나는 헬륨의 핵융합 반응과 핵의 외부에서 일어나는 수소의 핵융합 반응에 의해 많은 에너지가 공급되면 별을 이루는 기체들의 운동에너지는 인력을 이기게 되어 별은 부풀어 오르기 시작한다. 별이 수백만 배 부풀어 오름에 따라 겉 부분의 온도는 내려가서 멀리서 이 별을 관측하는 관측자에게는 덩치가 큰 붉은 별로 보일 것이다. 이런 별을.. 2022. 12. 11.
우리 가까이에 있는 아름다운 우주 이야기 우리 가까이에 있는 아름다운 우주 이야기 눈을 들어 하늘을 쳐다보면 우주는 언제나 그곳에 있다. 우리가 하루하루의 생활에 쫓겨 우주를 잊고 살아가는 사이에도 우주는 온갖 신비를 가득 담고 우리 머리 위에 시간을 지나며 존재하고 있다. 우리는 우리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를 알지 못하지만, 우주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는 더더욱 알지 못한다. 우주가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지는 더더욱 모른다. 그러나 인간은 알 수 없는 것을 동경하고 탐험하고 밝혀내려는 끝없는 의지를 갖추고 있다. 우리는 큰 우주를 보면서 인간의 적은 노력이 우주에 대해 과연 무엇을 알아낼 수 있을까 생각도 든다. 그런 의문을 가져보기도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한 도전과 동경을 멈출 수는 없다. 우주를 향한 인간의 끝없는 .. 2022. 12. 6.
음악과 천구들의 우주의 배경 복사 이야기 음악과 천구들의 우주의 배경 복사 이야기 초신성 사냥꾼들은 우주론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그들은 우주의 최종 운명을 도표로 작성하다가 신비로운 힘을 우연히 만났다. 하지만 여러 자료는 우주가 반중력을 가진 웃기는 모습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였다. 그 힘은 우주를 부풀려 점점 멀어지게 하고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우주를 팽창시킨다. 당연히 과학자들은 자신들이 모르는 반중력이라는 생각을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도망칠 방도를 찾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초신성이 과거에 오늘날보다 빛이 더 약했다면 그들은 실제보다 더 멀리 있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으며, 그러면서 계산들이 틀리게 된다. 우주상수처럼 직관에 반대되는 것의 존재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자료들.. 2022. 11. 23.
우주의 물질은 어디서 오는가 우주의 물질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대칭과 비대칭은 입자물리학자들에게 강력한 도구다. 원자보다 작은 세계 전체가 대칭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제10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아마도 초대칭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이다. 이 우주에서 새로운 대칭의 발견이나 이미 견고한 것으로 보이던 대칭의 붕괴는 우주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또 다른 근원적인 진리를 나타내는 표시가 되곤 한다. 입자물리학에서 중요한 세 가지 대칭들은 각기 그 첫 글자를 따서 C P T라고 부른다. 1950년대 말까지 과학자들은 p 대칭 우주를 지배하는 기본 법칙이라고 생각했다. 당신이 마법을 이용하여 우주를 슈퍼 거울에 비춘다면, 두 우주는 구분할 수 없이 똑같을 것이다. 하지만 원자보다 작은 규모에서 바라보자 거울에 비친 물질이 보통의 물질과 .. 2022. 10.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