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구5

별과 별자리의 대한 이야기 별과 별자리의 대한 이야기 별자리는 본래 약 5,000년 전에 메소포타미아 지방에 살던 칼데 아인들이 별들에 관심을 가지고 별들을 몇 개씩 묶어 동물이나 영웅의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원전 3,000년 전에 만들어진 표석에는 양, 황소, 쌍둥이, 게, 사자, 처녀, 천칭, 전갈, 궁수, 염소, 물병, 물고기 등 태양이 지나가는 자리의 12개 별자리인 황도 12궁을 포함한 20여 개의 별자리가 기록되어 있다. 이집트에서도 기원전 1,000년경에 이미 40여 개의 별자리가 정해져 있었다고 한다. 그 후 이러한 별자리들은 그리스에 전해져서 별자리 이름에 그리스 신화의 신이나 동물들의 이름이 더해지게 되었다. 2세기경에 고대 천문학 체계를 완성한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는 .. 2022. 12. 10.
별과 우주의 척도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우주의 척도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1905년에 하버드 대학의 천문학자였던 리 비트(H.S. Leavitt)는 페루에 위치한 천문대가 찍은 마젤란은하에 있는 변광성 들의 자료를 입수했다. 마젤란성운에는 많은 케페이드 변광성이 있는데 별의 밝기가 변하는 주기는 1.5일에서 127일에 이르는 것까지 매우 다양했다. 리비트는 마젤란은하에 있는 별들까지의 거리가 비슷할 것으로 가정하고 관측되는 별의 밝기와 주기의 관계를 알아내려고 관측 결과를 조사했다. 한 종류는 실제로는 두 별이 가까이서 서로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는 이중성으로 달이 태양 빛을 가려 일식을 일으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별을 가려 전체적으로 어둡고 밝게 보이는 식변광성이다. 또 다른 변광성은 별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부풀어 올라 다.. 2022. 12. 9.
우주에서의 거리 측정 대략 알아보자 우주에서의 거리 측정 대략 알아보자 사실 현대를 사는 우리가 예전 사람들에 비해 참으로 넓은 우주를 알게 된 것은 예전 사람들이 사용하던 자와는 다른 새로운 자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현재 우주의 크기를 재는 세 가지 자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천문학적 숫자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실제로 천문학에서 다루는 숫자들은 참으로 큰 숫자들이다. 그런데 이 큰 숫자 중에서도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거리를 나타내는 숫자이다. 도대체 우리로서는 상상하기도 힘든 먼 거리를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숫자를 듣다 보면 어떻게 이런 숫자가 나왔을까 하는 의심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거리 측정 방법으로는 이렇게 큰 거리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연주시차 법과 케페이드 변광성의 주기를.. 2022. 12. 8.
아름답고 신비로운 오로라 대해서 알아보자 아름답고 신비로운 오로라에 대해서 알아보자 오로라란 무엇인가? 위에 이미지대로 하늘에 빛이 쏟아지는 느낌과 흔들리는 느낌이 나는 부분이 오로라라고 불린다. 오로라를 설명하기 전에 우선 태양과 지구를 알아볼 이유가 있다. 태양을 먼저 이야기를 해보자면 오로라에 대한 이야기는 태양으로부터 시작이 된다. 태양은 우리 태양계 전체 질량의 99.8%를 차지하고 있는 별이라고 한다. 이 엄청난 질량이 중력으로 수축하여 태양의 중심부에서는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 지구에 떨어지는 태양 에너지의 원천이다. 그런데 이 거대한 폭발로 빛뿐 아니라, 핵실험에서와 마찬가지로 높은 에너지를 가진 물질들도 우주로 뿜어져 나온다. 이 입자들의 흐름을 태양풍이라고 한다. 태양은 우리에게 매우 필요한 존재이다... 2022. 10. 7.
우주들의 배경과 음악 천구들의 이야기 우주들의 배경과 음악 천구들의 이야기 우리는 앞서 이미 두 번이나 이런 종류의 응축과정을 보았다. 빅뱅이 있고 1백만분의 1초 만에 우주가 식으면서 자유로운 쿼크들을 결합해, 쿼크 글루온 플라즈마에서 양성자와 중성자를 만들어낸 것이 처음이다. 몇초 뒤에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가 식으면서 서로 결합하여, 핵 합성 시기 몇 분 동안 다양한 종류의 핵들이 만들어졌다. 이와 비슷하게 지금 세 번째로 우주가 식으면서 핵과 전자들이 결합하여 원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것이 재결합이라고 알려지는 과정이다. 하지만 세 번째로 우주가 식어서 응축되기까지는 매우 긴 시간이 걸렸다. 재결합이 이루어지는 3,000도에 도달하기까지는 대략 40만 년의 시간이 걸렸다. 그 중간의 시간, 그러니까 빅뱅 이후 몇초부터 재결합이 이루어.. 2022. 10. 3.
반응형